김해전기공사
- 케이디 전기공사

- 7월 25일
- 3분 분량
김해전기공사
물 흐르듯 이어져야 할 일상 속에서 전기가 멈춰버리는 순간, 우리 삶도 함께 멈춰 선 듯한 불편함이 찾아옵니다. 며칠 전, 김해 내동의 단독주택에 거주하시는 40대 부부 고객님께서 전기 문제로 연락을 주셨습니다. “불이 켜졌다 꺼졌다 하더니, 결국 차단기가 내려가서 전기가 안 들어와요.”라는 말씀 속에는 당황스러움과 불안함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습니다.

최근 이사를 하신 데다 아직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이었기에, 더더욱 민감하게 느껴지셨을 상황이었습니다. 처음엔 특정 가전기기의 문제로 생각하셨지만, 퇴근 후 조명을 켜면 전등이 깜빡이고, 전자레인지나 세탁기를 작동시킬 때마다 차단기가 내려가는 현상이 반복되자 더는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으로 연락을 주셨습니다.

현장 진단 – 겉보기엔 멀쩡했지만, 내부에 이상이 있었습니다 현장에 도착해 가장 먼저 두꺼비집, 즉 차단기함의 상태를 확인했습니다. 스위치들은 모두 올라가 있었지만, 메인 차단기 우측에서 탄 흔적이 보였고, 약한 타는 냄새도 감지되었습니다. 레버를 손으로 눌러보니 ‘덜컥’거리는 반응이 있었고, 고정이 제대로 되지 않은 채 느슨한 상태였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차단기 내부 접점이 반복된 스파크나 열에 의해 마모되었을 때 자주 나타납니다. 외관상 멀쩡해 보일지라도, 내부 금속 접점이 탄화되면 전류 흐름이 불안정해지고,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차단기가 자주 작동하게 됩니다.

정밀 장비로 확인한 회로별 누전 상태 이후 절연저항계(누전 여부 측정 기기)를 이용해 회로별 절연 상태를 점검했습니다.
부엌 회로: 기준 수치 이하. 콘센트 벽면은 기름기와 습기 탓에 변색이 심했고, 실리콘 마감도 갈라져 있었습니다.
안방 회로: 절연 수치가 낮게 측정되었고, 접촉 불량이 의심되는 구간이 확인되었습니다.
고객님께서도 “요리할 때마다 ‘딸깍’하는 소리가 자주 났다"라고 말씀하셨는데, 이는 배선 피복 손상이나 콘센트 접점의 느슨함으로 인해 누전이 진행되고 있었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거실 멀티탭 과부하 – 작은 방심이 큰 고장이 될 수 있습니다 거실에서는 하나의 멀티탭에 TV, 공유기, 셋톱박스, 공기청정기 등 여러 기기가 연결돼 있었고, 내부 단자에서는 발열 흔적이 확인되었습니다. 일부 전선 연결부는 절연 테이프 없이 노출된 상태였습니다. 고 전력 기기를 동시에 멀티탭에 연결하면 회로 전체에 무리가 가고, 누전이나 트립 현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전기 구조 개선 및 회로 분리 작업 전체 점검 내용을 고객님께 설명드린 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회로를 재구성하고 정비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부엌 전용 회로: 전자레인지, 인덕션, 밥솥 등 고 전력 주방 가전을 위한 별도 회로
생활용 회로: 안방과 작은방의 조명 및 플러그용 회로로 통합
상시 전원 회로: 냉장고, 에어컨 등 24시간 작동 가전을 위한 별도 회로
회로를 기능별로 분리하면 각 구간에 걸리는 전기 부하가 줄어들고, 차단기의 과민 반응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배선 보강 및 콘센트 정비 누전이 의심되던 부엌 콘센트는 배선을 절단한 뒤 새 압착 단자를 이용해 재결선했고, 방수 실리콘과 절연 테이프로 이중 보호 후 플라스틱 외부 커버도 신제품으로 교체했습니다.
천장 조명 정비 – 방심할 수 없는 구간 부엌 천장 전등 쪽에서도 피복이 벗겨진 전선이 노출돼 있었고, 고정 상태 역시 불안정했습니다. 해당 구간은 절연 테이프로 보강하고 전선을 다시 고정하여 안전하게 마무리했습니다.

최종 점검 – 전기 흐름의 전면 재설계 완료 모든 작업을 마친 후 테스트기와 절연저항계를 이용해 회로별 전류 흐름과 절연 상태를 재확인했습니다. 새로 교체한 차단기 또한 테스트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했으며, 트립 현상 없이 조명과 가전기기들이 정상 작동하는 것을 고객님과 함께 확인했습니다.

고객님의 반응 – “아이 때문에 불안했는데, 이제 정말 마음이 놓여요”작업을 마친 뒤 고객님께서는 “이제야 안심이 됩니다.”라는 말씀을 남기셨습니다. 아이가 있는 가정이라 특히 더 불안하셨던 마음이 조금은 놓이신 듯했고, 그 순간 저는 전기를 다루는 기술자로서의 보람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 사례를 통해 드리고 싶은 말씀 차단기가 자주 내려가거나 조명이 깜빡이는 증상은 단순한 고장처럼 보여도, 구조적인 전기 문제일 수 있습니다. 특히 오래된 주택이나 이사 직후엔 내부 배선 구조와 회로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작업했던 공간은 오래 기억합니다. 만약 1년 이내에 비슷한 증상이 다시 발생한다면, 빠르게 점검해 드릴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습니다. 전기는 단순히 ‘고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안심을 지켜주는 기술입니다.
불빛 하나가 다시 켜지는 그 순간, 마음도 따뜻해지고 삶도 다시 안정되기 시작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