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전기업체
- 케이디 전기공사

- 7월 7일
- 3분 분량
며칠 전, 김해 삼방동에서 음식점을 운영하시는 50대 사장님께서 연락을 주셨습니다.가게 조명이 자주 깜빡이고, 특히 비 오는 날이면 더 심해진다는 내용이었습니다.매장은 1층 도로변 상가였고, 고객 응대가 중요한 장소인 만큼 전기 상태에 대한 불안감은 하루라도 빨리 해소해야 할 상황이었습니다.조명이 불안정하면 손님 응대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장님께서는 “지금이 영업 중이라 더 조심스러워요”라며 신속한 조치를 요청하셨습니다.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 중에도 상가나 가정에서 유사한 전기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면,이번 사례가 하나의 해결 방향이 되어드릴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현장에 도착한 직후 가장 먼저 두꺼비집(전류 분배함)부터 확인했습니다.차단기 상태는 정상적으로 올라가 있었고, 전기 공급 자체에는 문제 없어 보였습니다.그러나 조명을 점등했을 때 일부 등기구에서 ‘찌직’하는 소리가 들렸고,불빛이 순간적으로 깜빡이는 증상이 반복되어 관찰되었습니다.이런 현상은 전구 불량으로만 보기엔 무리가 있고, 전류 흐름의 불안정이나 회로 내 이상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고객님 말씀에 따르면, 이전에도 LED 전등만 교체한 적이 있으셨지만문제는 계속 반복되어 왔다고 하셨습니다.이처럼 증상이 지속될 경우, 전등 자체보다는 차단기 감도 이상이나 배선 손상 등 회로 전체를 고려한 점검이 필요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세 가지 점검을 진행했습니다.우선 테스터기로 회로별 전압 상태를 확인했는데,조명을 켤 때 전압이 일시적으로 떨어지는 구간이 확인되었습니다.이런 전압 강하는 내부 배선 저항이 증가했거나, 누전이 발생하고 있을 때 종종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다음으로 절연저항계(누전 여부 측정 장비)를 사용해 회로별 절연 상태를 체크했습니다.외부 간판으로 연결된 조명 회로에서 절연 수치가 기준치보다 낮게 측정되었고,비가 오거나 습한 날씨에는 수치가 더 떨어질 가능성이 큰 구조였습니다.

해당 전선은 외벽을 따라 외부로 길게 연결돼 있었는데,일부 구간은 콘크리트 벽 틈을 따라 그대로 노출되어 있었고, 실리콘 마감도 되어 있지 않은 상태였습니다.이처럼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된 구조에서는 습기나 빗물이 쉽게 침투하게 되고,그때마다 누전이 발생하며 조명 전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조명 회로에 연결된 일부 콘센트에서는 냉장고, 전기포트 등 소형 가전이 함께 작동 중이었습니다.전류가 집중되는 시간대에는 전체 회로가 불안정해지면서 조명까지 영향을 받는 구조였습니다.
문제 원인이 명확해진 후, 곧바로 수리에 들어갔습니다.우선 외부 간판 회로는 두꺼비집에서 완전히 분리해 차단했고,실내 조명 회로는 단독으로 분리해 재구성하였습니다.이로 인해 외부 환경에 따른 전기 이상이 실내 회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했습니다.

노출된 전선 중 손상된 부분은 절연 테이핑 후 교체 작업을 병행하였고,벽면 외부에는 실리콘 마감과 PVC 덕트를 보강해 외부 충격과 습기에 강한 구조로 개선했습니다.차단기도 감도 반응이 뛰어난 안전형 제품으로 교체하여, 향후 누전 발생 시 빠르게 반응할 수 있도록 설정했습니다.
모든 작업이 끝난 후 조명, 콘센트, 주요 가전제품까지 하나하나 작동 여부를 점검했으며,문제가 되었던 깜빡임 현상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았습니다.외부 간판 조명은 날씨가 건조해지는 시점에 절연 보강을 마친 후 재연결해드릴 계획으로 안내드렸습니다.

작업을 지켜보신 사장님께서는“처음엔 그냥 등만 문제인 줄 알았는데, 이렇게 깊은 원인일 줄은 몰랐네요.”라며 놀라움을 표하셨습니다.“장사하는 입장에서 손님 앞에서 불빛이 자꾸 깜빡이는 건 정말 신경 쓰이거든요.이젠 안심하고 영업할 수 있겠어요.”이 말씀에서, 단순한 기술적 해결을 넘어 생활 안정과 신뢰 회복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느꼈습니다.

이와 비슷한 증상을 보인 다른 상가의 경우에는 콘센트만 교체해도 문제가 해결되었던 적이 있었습니다.하지만 이번처럼 구조적인 문제까지 포함된 경우에는 정확한 진단과 회로 구성 변경이 필수적이었습니다.겉으로 보기에는 동일한 증상일 수 있어도, 현장 구조나 사용 환경에 따라 원인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기 문제는 단순히 ‘켜지는가’에만 집중해서는 안 됩니다.얼마나 안정적으로 작동되는가, 그 지속 가능성이 중요합니다.조명 깜빡임처럼 눈에 보이는 현상 뒤에는, 배선 손상이나 습기 침투, 차단기 감도 저하 등복합적인 원인이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음식점처럼 전기 사용량이 많고, 고객을 응대하는 공간이라면작은 전기 이상이라도 신속하게 진단하고, 정확히 조치하는 것이 곧 ‘신뢰 관리’로 이어지게 됩니다.
혹시 지금 비슷한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면, 두꺼비집부터 점검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작업 후 1년 이내 동일한 문제가 생기면 저는 기억하고 다시 점검해드립니다.전기는 단순한 수리가 아니라, 영업과 일상을 지키는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김해전기업체로서 다양한 장소에서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가정집은 물론 상가, 창고, 공장까지 유사 사례를 다양하게 해결해왔습니다.언제든 도움이 필요하시면 부담 없이 연락주세요.
불빛 하나가, 공간 전체 분위기를 바꿔줄 수 있다는 걸 다시 느낀 하루였습니다.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